본문 바로가기
무주 이야기

가장 산골다운, 무주 내창마을

by 눌산 2011. 11. 11.
728x90
반응형








무진장(무주 진안 장수)은 호남 오지의 대명사였다.
강원도에 영평정(영월 평창 정선)이 있고,
경상북도에 BYC(봉화 영양 청송)가 있듯이 말이다.
하지만 이제 무진장은 없다.
고속도로가 사통팔달로 뚫리고,
서울 부산이 두 시간대가 되면서, 특히 무주는 교통의 요충지가 된지 오래다.
그런 무주에서 산골 분위기 가득한 마을을 찾기란 쉽지가 않다.

적상산 북서쪽에 위치한 적상면 북창리 내창마을은 '무주다움'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마을이라 할 수 있다. 


적상산 머루와인동굴 바로 아랫마을이다.
가을이면 단풍객들로 교통체증이 일어나 정도지만, 이 마을을 찾는 이들은 없다.
산비탈에 계단식으로 다닥다닥 붙어 있어 자동차 안에서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내창마을 입구에 선 당산나무는 수령이 320년 된 보호수다.
"나는 당신을 위해 이렇게 서 있습니다.
이 땅에 일어났던 모든 재난 속에서도 오직 당신을 위해 의연히 서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 아끼고 사랑해 주신다면 당신과 당신의 후손들 곁에서 억겁을 살으렵니다."라고 써 있다.





한때 40여 가구가 살던 내창마을에는 지금 25가구 정도가 산다.









내창마을에는 빈집이 많다.
눌산이 살고 싶은 집도 있다.
눌산의 꿈, 오두막 말이다.





내창마을 뒤 적상산에는 사고와 산성이 있었다.
산성을 기준으로 서쪽에는 눌산이 살고 있는 서창마을이 있고,
내창마을이 속한 북창리가 있다.
북창은 사고를 지키던 군사들이 먹을 군량미를 보관하던 곳이라는데서 유래 된 지명이다.





새로 지은 집들도 더러 보이지만, 돌담을 쌓아 마당을 넓힌 전형적인 산간지대 특징을 잘 보여주는 집들이 더 많다.





한눈에 알 수 있는 뒷간이다.
토담보다 돌담이 많은 것은 산비탈을 개간해서 땅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밭을 만들고, 그 위에 집을 짓고.
그래서 유독 돌담이 많다.





농토는 대부분 마을 뒤 산비탈에 있다.
걸어서 가기도 힘든 경사도가 만만치 않다.





김장철이다.
밭에서는 배추 뽑기가 한창이다.





다~ 홍시가 되었다.
하나 따 먹고 싶은데, 방법이 없다.
워낙 높아 장대로도 닿지 않는다.





파밭을 지키는 어여쁜 여인.

내창마을은 적상산 머루와인동굴 바로 아래 있다.
커다란 돌표지석이 서 있어 찾기 쉽다.
'언제나 봄날'에서 백두대간 마실길을 따라, 걸어서 내창마을을 찾을 수도 있다.
세시간 걸린다.
728x90
반응형